이화여대 행정학과 강민아 교수연구실

Publication

listeners’s lab

Journal

  • 제목
  • 한승헌, & 강민아. (2019). 국제개발사업의 성과의 의미와 성과 전파체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: 과정적 성과로서의 학습성과의 의미와 공유. 국제 지역연구, 28(4), 163-196.
  • 한승헌, & 강민아. (2018). 국제개발사업에서 협력과 협력 파트너의 의미에 관한 연구: 한국 국제개발 NGO 소속 사업 관리자의 인식과 경험을 중심으로. 국제개발협력연구,10(4), 33-54.
  • 김희언, & 강민아. (2018). 대도시 미충족의료와 지역 맥락효과에 관한 다수준 분석: 서울시를 중심으로. 보건경제와 정책연구, 24(1), 111-141.
  • 배그린, 문정화, 강민아. (2017). 한국인의 건강불안정성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. 보건사회연구. 37권 4호. 146-178.
  • Bae, G., & Kang, M. (2017). Universal but Precarious: A Case Study of the South Korean Health Care System. 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& Ethics, 10, 115-133.
  • 주민지, 김희언, & 강민아. (2017). 정신질환자의 민간보험 가입차별 문제에 대한 정책과정: 비판적 담론분석의 적용. 사회보장연구, 33(2), 153-184.
  • 문정화, & 강민아. (2017). 노인의 종사상 지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득수준, 건강수준의 조절효과. 사회복지정책, 44(1), 79-103.
  • 한승헌, 임다혜, & 강민아. (2017). 한국 청년의 삶의 불안정성 (precariousness) 과 행복. 한국사회정책, 24(2), 87-126.
  • 배그린, 이수옥, 강민아. (2016) 약제비 억제와 처방의 질 제고의 딜레마: 처방 인센티브 제도와 내재적 동기. 생명윤리정책연구, 제 9권 3호 (161-183)
  • 김연수, 강민아. "정책목적과 정부자원에 따른 정책도구의 선택과 조합."한국공공관리학보30.2 (2016): 29-58.
  • 문정화, 강민아. "독거노인의 미충족 의료와 영향요인."보건사회연구36.2 (2016): 480-510.
  • 권문영, 강민아, 배현아. "성희롱 피해자 보호를 위한 법적 조치 강화 방안-건강권 보장 관점의 적용."법과정책22.2 (2016): 21-54.
  • 한승헌, 강민아. (2015). 내전 후 평화의 달성을 위한 정부의 질(Quality of Government): 질적 비교 연구 방법론(QCA)의 적용. 국제정치연구 (THE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) 18(1), 2015.6, 21-57.
  • 권문영, 한승헌, 강민아. "보건분야 ODA 사업에 대한 성별영향분석평가: KOICA 에티오피아 아르시존 가족계획 및 모자보건 증진사업에 대한 시범적용."여성연구(2015): 239-279. Mun-Nyoung Kwon, Seung-heon
  • 한승헌, 조희정, 강민아. "일본 ODA 정책결정체계의 통합과정에 나타난 정책변동 분석."한국사회정책22.3 (2015): 197-234. Han, Seungheon, Cho, Heejung, Kang, Minah. Integration Process on the ODA Policy-Making System of J